한자의 발생, 형성과 기본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19:52
본문
Download : 한자의 발생, 형성과 기본 특징.doc
한자의 발생, 형성과 기본 특징
Download : 한자의 발생, 형성과 기본 특징.doc( 71 )
0. 들어가기 전에
1. 한자의 발생
2. 한자의 형성
2. 한자의 형성
(1) 도문(陶文)
6,800여년 전의 도기(陶器)위에 쓰여진 부호 형태의 글자.
최근 수십 년 동안 여러 지역에서 도문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시기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지고 사용된 것들로 현재까지 발견된 도문은 모두 200여자 정도. 그 중 가장 오래되면서 수량도 많은 도문은 앙소文化(仰昭文化)에 속하는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반파(半坡)지역에서 발견된 것으로서(반파유적) 탄소14에 의한 연대측정(measurement) 결과 대략 B.C 4800 ~ B.C 4300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
그러나 그것이 글자(한자)의 원시 단계였는지, 단지 장식하기 위하여 새겨 넣은 기호였는지의 논란. 아직 갑골문자와의 연속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점치는 방법 - 먼저 거북껍질이나 뼈를 다듬어, 안쪽에 둥글고 뾰족한 흠을 몇 개 파서 흠마다 가로로 구멍을 판 후, 그 구멍에 불 붙인 나무를 눌러 표면에 생긴 줄무늬로 점을 침. 그 잔금의 생김새…(생략(省略))






한자의발생,형성과기본특징 , 한자의 발생, 형성과 기본 특징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한자의발생,형성과기본특징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다.
(2) 갑골문(甲骨文)
현재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래된 한자. 대략 은대(殷代 또는 商代, B.C 1300 ~ B.C 1000) 말기에 사용.
거북의 껍질이나 짐승의 뼈 위에 기록된 글자로서 왕실에서 점을 칠 때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