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文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23:39
본문
Download : 교육과 문화.hwp
⑵ culturechange(변화)의 유형 (04, 초등)
1) culture전계(文化傳繼, enculturation)
culture전계는 하나의 culture가 기성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계승되는 것을 말한다.
03. culturechange(변화)와 교육
⑴ culturechange(변화)의 原因과 의미
1) culture change(변화)의 原因
① 내적 原因 : 사회 내부의 경제조직 ∙ 산업조직의 change(변화), 발견, 발명 등
② 외적 原因 : 외래culture의 전파, 접변, 동화 등
2) culturechange(변화)의 의미
culturechange(변화)는 내적, 외적인 요인들에 의하여 하나의 culture형태에서 다른 형태의 culture로 change(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2) culture접변(文化接變, acculturation)
culture접변은 두 가지 culture가 오랜 기간동안 서로 접촉하면서 한쪽 또는 양쪽의 culture가 change(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2) 사회적 유산이다.
3) culture지체(文化遲滯, cultural lag)
오그번(Ogaburn)이 제시한 concept(개념)으로 물질적 culture(문명)는 빠른 속도로 change(변화)하지만, 정신적 culture는 그 속도가 …(To be continued )
순서
설명
교육과文化
,인문사회,레포트
다.
4) 인성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다.
5) 사회적 공유물(Good enough)이다.
레포트/인문사회
교육과 文化






교육과문화 , 교육과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교육과 문화.hwp( 25 )
01. culture의 concept(개념)
02. culture의 characteristic(특성)
03. culturechange(변화)와 교육
04. 학교 culture
05. youth 비행culture론
01. culture의 concept(개념)
1) 라틴어의 ‘cultus`에서 origin되었다.
3) 항상 change(변화)한다.
2) Tylor : culture란 인간에 의해 획득된 지식, 신념,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을 포함한 복합적 총체이다.
3) Williams : 특정 사회에서 모든 사회적 역할들의 가치와 행동유형을 culture라고 한다.
6) culture는 나름대로의 구조와 방식을 가지고 있기에 다양하다.
02. culture의 characteristic(특성)
1) 학습되고 후천적으로 획득되는 결과이다. `경작한다`는 의미로, culture란 자연(nature)에 대비되는 말로 인간에게 생활의 수단과 목적 및 이상을 함께 제공해준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그러나 문명과 culture는 서로 다른 속도로 change(변화)하기에 culture지체현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culture전계는 사회화의 한 측면이라 할 수 있으며, 개인이 한사회의 성원으로 성장, 발달하면서 그 사회의 culture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