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5 03:17
본문
따라서 두 경우를 비교해본 결과 constant volume method가 값…(skip)
[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實驗(실험)
[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 , [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생물의학실험과제 , [의학 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
[의학,약학]식물생리학,-,water,potential,관련,constant,volume,method,와,chardakov,method를,이용해,감자,절편의,수분,포텐셜을,구한,실험,생물의학,실험과제
실험과제/생물의학
순서
Download : [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hwp( 69 )
다. 용액이 멈춘 농도는 0.25m과 0.30m였고 이것의 삼투포텐셜 값은 -0.619Mpa와 -0.743Mpa였다. 그 후, 방출된 용액의 이동경향을 잘 observation하여 어느 농도에서 용액이 멈췄는지를 확인한다. 먼저 감자조직의 부피를 이용한 constant volume method는 5번 cork borer로 만든 cylinder 형태의 감자조각을 2cm로 썰어 30개 준비해 이것을 3개씩 각각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에 넣어 약 2시간 정도 삼투평형을 이루게 하고 삼투평형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감자조각의 무게를 측정(measurement)하였다. 또한 char...
Abstract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는 감자 조직에서 water potential을 구하기 위해 constant volume method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값을 구해보고 비교해보았다. 먼저 감자조직의 부피를 이용한 constant volume method는 5번 cork borer로 만든 cylinder 형태의 감자조각을 2cm로 썰어 30개 준비해 이것을 3개씩 각각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에 넣어 약 2시간 정도 삼투평형을 이루게 하고 삼투평형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감자조각의 무게를 측정(measurement)하였다.[의학,약학]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實驗(실험)
설명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1.gif)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2.gif)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3.gif)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4.gif)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5.gif)
![[의학,약학]식물생리학%20-%20water%20potential%20관련,%20constant%20volume%20method%20와%20chardakov%20method를%20이용해%20감자%20절편의%20수분%20포텐셜을%20구한%20실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B%9D%EB%AC%BC%EC%83%9D%EB%A6%AC%ED%95%99%20-%20water%20potential%20%EA%B4%80%EB%A0%A8,%20constant%20volume%20method%20%EC%99%80%20chardakov%20method%EB%A5%BC%20%EC%9D%B4%EC%9A%A9%ED%95%B4%20%EA%B0%90%EC%9E%90%20%EC%A0%88%ED%8E%B8%EC%9D%98%20%EC%88%98%EB%B6%84%20%ED%8F%AC%ED%85%90%EC%85%9C%EC%9D%84%20%EA%B5%AC%ED%95%9C%20%EC%8B%A4%ED%97%98_hwp_06.gif)
Abstract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는 감자 조직에서 water potential을 구하기 위해 constant volume method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값을 구해보고 비교해보았다. 또한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서도 삼투포텐셜을 구했는데, 첫 번째 experiment(실험)과 마찬가지로 감자 조각 30개와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을 각각 준비해 이번에는 두개의 experiment(실험)관에 각각 담는다. 하나의 experiment(실험)관에는 감자조각들을 3개씩 넣고 나머지 experiment(실험)관에는 Janus green B라는 dye를 넣는다. 30분 정도 지난 뒤, 감자조각들을 experiment(실험)관에서 빼내고 Janus green B가 섞인 용액을 각각 dye가 섞인 용액과 같은 sucrose 농도를 가진 용액에 pipet으로 중간 지점에 조심스럽게 넣어준다. 그리고 처음 무게에서 變化한 정도(%)를 구해서 sucrose 용액의 농도와의 관계 함수를 구해 이 함수의 절편값인 0.31mol/L H2O를 알아냈고 이것을 삼투포텐셜 公式(공식)에 넣어 감자 조직의 삼투포텐셜이 -0.768Mpa라는 것을 구했다. 그리고 처음 무게에서 變化한 정도(%)를 구해서 sucrose 용액의 농도와의 관계 함수를 구해 이 함수의 절편값인 0.31mol/L H2O를 알아냈고 이것을 삼투포텐셜 公式(공식)에 넣어 감자 조직의 삼투포텐셜이 -0.768Mpa라는 것을 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