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co.kr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 cabincrew5 | cabincrew.co.kr report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 cabincrew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5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06:26

본문




Download :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hwp






그러나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상봉, 남북교류협력 증진 등 한반도 문제가 국내외적인 관심사항으로 부상하면서 접경지역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아
특히, 접경지역지원법’의 제정으로 각종 개발 사업에 대한 政府(정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이러한 상황이 접경지역의 난개발을 부채질 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아

2. 자연環境 보전을 위한 정책방향

1) UNESCO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
세계적으로 희귀한 인류전체의 자산인 비무장지대 일원을 유네스코 접경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보호대안을 적극 강구하여 남북한 環境협력사업의 모범사례(instance)로 만들어 나가도록 말씀하시어 環境부에서는 관련기관과 협조체계를 갖추어 유네스코의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하였다.비무장지대,접경지역,보전대책,추진,생활전문,레포트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순서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설명

비무장지대%20및%20접경지역%20보전대책%20추진_hwp_01.gif 비무장지대%20및%20접경지역%20보전대책%20추진_hwp_02.gif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1. 자연보전 여건 및 결점

한국전쟁 결과 생긴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와 군사적 작전을 위하여 설정된 민간인통제지역(CCZ, Civilian Control Zone) 등 접경지역은 우리민족에게는 여러 가지 불행한 사건을 간직한 지역이나, 한편으로는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야생 동식물의 보고로서 생물다양성이 어느 지역보다도 훌륭하게 보전되어 왔다.

2) 생태적 가치와 지역별 特性(특성)을 고려한 4개 권역별로 구분·관리
접경지역의 자연環境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지역에 대한 자연環境 present condition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아 자연環境조사를 토대로 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은 보전위주로 관리하고 기타 지역은 環境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이용되도록 한…(省略)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생활전문레포트 ,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





Download :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보전대책 추진.hwp( 32 )




레포트/생활전문




다.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은 대상지역을 核心(핵심)지역(보전), 완충지역, 전이지역(지속가능한 이용)으로 구분하고,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은 경우 한반도의 동서를 연결하는 생태축을 보전·관리할 뿐만 아니라 남북한 평화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적인 평화 생태지역을 만드는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전체 6,63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